목록정기안전보건교육 (2)
기록
- '산업안전보건법'상 의무주체가 아닌 것은?① 소비자② 근로자③ 안전보건확보 관계자④ 사업주 - 근로자의 사법상의 권리가 아닌 것은?① 근로자 해고② 손해배상청구권③ 이행청구권④ 작업거절권 - 산업안전보건법상의 안전배려의무라 함은 사용자가 근로자의 생명·건강 등을 유해·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배려할 의무가 있다.① O② X - 근로기준법 제정 당시 ‘안전과 보건’에 관한 조문은 총 10개이다.① O② X - '산업안전보건법'상 사업장의 생산과 관련되는 업무와 그 소속 직원을 지휘·감독하는 직위에 있는 자는?① 관리감독자② 근로자③ 안전보건관리책임자④ 근로감독관 -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심의·의결 사항이 아닌 것은?①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기록 및 유지② 직장 내 괴롭힘의 예방 및 ..
- 일반적으로 '당면하는 사상'의 정상적인 진행을 저지 또는 방해하는 사건을 무엇이라 하는가?① 사고② 안전③ 행복④ 공정 - 사고의 직접원인인 불안전행동, 불안전상태의 배후에는 그 원인에 해당하는 기본원인이 존재한다는 이론은 무엇인가?① 버드의 신도미노이론② 플라시보 효과③ 치즈이론④ 폭발방지이론 - 산업재해의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은?① 복리 계산② 연속식 공정③ 안전문화④ 4M 방식 - 재해란 인간과 노동의 생산물인 토지, 동식물, 시설, 제품 등이 자연적 또는 인위적 요인(파괴력)에 의해 기능이 상실되거나 저하되는 현상을 말한다.① O② X - 국제적으로 합의된 정의로서 안전은 ‘허용할 수 없는 위험성으로부터의 자유’를 의미한다.① O② X - 하인리히 법칙에서는 '중상(Major In..